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1 칵테일 Cocktail 칵테일 특성 - 칵테일의 역사 흔히들 여러 재료를 혼합하여 최소 2개 이상의 재료로 만들어진 음료를 일컫는다. 이러한 칵테일의 역사는 호메르스의 ' 일리아드' 에서 정확하게 무엇을 혼합했는지는 모르나 혼합하여 마셨다라는 흔적은 확인되었다. 시간대 순서대로 670년경 중국에서는 와인을 말의 에 혼합하여 마셨으며, 1180년경 이슬람에서는 꽃과 식물에 알콜을 섞어 마셨다. 1800년대 후기 ~ 1900년대 초반에 이르어 칵테일의 대중화자 시작되었다. 이 중 본격화의 시발점은 주스 및 탄산수 등을 배합한 칵테일의 생성 이후이다. 이러한 배합은 1920~1933년경 미국에서 시행 된 금주법 때문이다. 어떻게든 당국의 감시를 피해 주류를 섭취하고픈 이들에 의해 발전한 계기라 생각하면 좋다. 핑크레.. 2023. 6. 22. 와인잔(명칭,종류) Wine glass 수 많은 종류의 주류가 생겨난 지금 오늘은 그 중 와인을 담는 와인잔에 설명하고자 한다. 전문 와인숍, 백화점 외에도 저렴한 저가 품목까지 여러가지의 상품이 즐비하다. 그 중 우선 와인잔의 부분에 따른 명칭을 먼저 소개하고자 한다. 와인잔 명칭 (위치에 따른 이름) 각자의 위치마다 역할이 나뉘어지는데 음식예절과 같이 와인에도 와인 매너가 있다. 알고있고 조금 더 신경쓴다면 더욱 즐거운 와인시간을 즐길 수 있을것이다. 립의 경우 우리가 입을대고 먹는장소로 음식과 마리아주하여 즐길 경우 맛의 변화를 최소화하고 싶다면 먹었던 부분으로 계속 마셔주면 되겠다. 육향이 진한 육류 요리의 경우 기름기 때문에 입술 자국이 남는건 물론이고 기름기로 인한 향이 번질 수 있다. 참고한다면 좋을 것 같다... 2023. 6. 16. 소믈리에 Sommelier 음료를 다루는 직업군중 하나로 와인 감별사 즉 소믈리에가 지목되곤 한다. 서양의 문화중 하나이며 와인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여러 형태의 분야에서 일을 하는 전문 직업군 중 하나이다. 로드샵의 레스토랑이나 와인 전문 bar 혹은 와인 애호가들을 위한 판매 업소매장 등 현재 우리 사회에는 많은 소믈리에들이 있다. 이들은 전문적인 요소를 성장시켜 강사를 하거나 학원교육을 진행하기도 한다. 소믈리에의 유래 중세시대 유럽지역에서 식품을 보관하는 담당자를 솜(Somme)이라 불렀는데 이러한 직책에서 유래되었다. 솜은 영주 및 왕의 식사 전 음식의 상태와 안전성을 체크하는 담당자로 예정의 우리나라의 기미상궁과 같다 보면 되겠다. 이후 19세기경 프랑스 파리에서 와인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역할이 생기면.. 2023. 6. 16. 바리스타 Barista 음료를 다루는 직업중 하나인 바리스타. 요즘 사회에는 흔히들 볼 수 있는 직업군이다. 물론 전문 교육과정과 시험을 거쳐 교육된 바리스타는 아직까지도 많지는 않지만 간단한 아르바이트, 인턴십, 현장고용을 통한 임시방편 등으로 많이들 접하며 볼 수 있다. 이러한 바리스타라는 용어 또한 이탈리아어에서 파생되었는데, 바(bar) 혹은 카운터(Counter)에서 일을하는 바텐더(Bartender)에서 유래되었다. 본래는 남성의 경우 Baristi, 여성은 Bariste로 불리곤 하였으나 현재로는 통합한 바리스타로 표기한다. 이러한 바리스타도 종류에 따라 나뉘어 지는데 에스프레소 바리스타 일반적인 에스프레소 머신기를 다루는 바리스타. 핸드드립 바리스타 핸드드립 기법을 활용한 바리스타. 커피 로스터(R.. 2023. 6. 15.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